가짜뉴스 처벌은 어떻게? - 공익광고협의회의 광고를 보고

아마귀차니스트

·

2019. 9. 4. 20:58

2019.09.04 20:05 글쓰기 시작


PC에서 모바일로 넘어오며, SNS를 언론이라 칭하는 상황까지 와버렸다.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누구나 쉽게 인터넷에 접속하고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나 기존 미디어 (TV, 라디오)를 대체하는 미디어로서 유튜브(Youtube), 넷플릭스(Netflix) 등의 영상플랫폼과 아프리카TV, 트위치, 카카오TV 등 각종 1인 방송 미디어가 급성장하고 있다.

 

이런 시기에 라디오를 듣다가 우연히 공익광고협의회의 광고를 들었다.

"SNS는 또 하나의 미디어" 라는 타이틀로 각종 영상과 음성이 전파를 타고 퍼져나가고 있다.

 

그렇다면 궁금한 점이 생긴다.

 

  • 1인 미디어 혹은 SNS를 공적인 영역으로 끌어온다면, 허위사실 유포 혹은 가짜뉴스에 대한 처벌 대책이 마련되었는가?
  • 기존 언론이 외치던 "언론의 자유", "국민의 알권리" 는 1인 미디어에서도 적용될 것인가?

요즘 뉴스를 이용하기 위해 네이버나 다음, 카카오 같은 포털을 이용할 때가 많다.

이 때, 뉴스를 어떻게 보여지게 하는가 역시 권력으로 잡으며 한때 네이버의 뉴스순위 조작역시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고, 큰 문제화 되어 정책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현재 뉴스가 생성되는 프로세스는 정당한가?

 

포털에 뉴스가 올라가기 시작하면서, 이제 신문의 발행부수는 사실상 의미가 없다. 기존에 영향력을 행사하던 지상파 TV들과 조중동으로 시작되는 보수 언론과 한겨레, 경향, 문화 등의 진보(?)언론은 수익을 내기 위해 더 많은 사람들이 보는 온라인으로 완전 이전했다고 본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사람들은 어떤 기사를 많이 볼까?

조회수는 곧 돈이다. 광고를 싣기 적당한 매개체이다.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언론이 택한 방법은 자극적, 선정적, 논란 거리가 있는 이슈들을 다루고 제목에 올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사실검증은 언론의 제물이 된 당사자의 몫이 되었다.

 

이 상황이 정상적이지가 않다.

언론이 항상 외치던 '국민의 알권리'는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개인의 사생활'을 넘어선 정보까지 제공해야하는 것일까?

이런 측면에서 디스패치를 정말 싫어한다. 가십으로 돈을 버는 집단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런 측면에서 현재의 언론이 갖고 있는 행태는 정말 악마와 다를바가 없다.

일단 찌라시 비슷하게 써서 조회수를 올리고, 사실과 다르더라도 정정이나 사과는 없다.

그저 돈벌이 수단일 뿐이다. 

하지만 이런 일을 당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순간 인생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길이다.

 

자의에 의해서가 아니라 타인에 눈먼 키보드와 돈으로 쓴 펜대에 의해서.

 

수천건의 댓글이 한쪽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면, 정상인가?

 

각 포털사이트의 성향이 분명해지고 있다.

특히 이슈가 되어 순위권 기사가 되고 나서부터는 상상을 초월한 댓글들이 달린다.

솔직히 말해서 요즘은 댓글을 보기 싫다. 더럽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오히려 돈받고 쓰는 댓글이 존재하지 않는 IT/과학 분야의 탑이슈나 과학기술 뉴스를 더 많이 보게 된다.

이공계 출신 기자가 적어서 인지, 오탈자는 많지만 그래도 있는 그대로의 사실, 팩트를 말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글에는 댓글이 없거나, 한두개의 의견 혹은 감정이 담겨있다.

 

왜 이런 식으로 흘러갔을까?

 

차라리 댓글이 없었으면 기사가 좀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댓글은 그저 감정풀이의 대상 혹은 온라인을 싸움터로 만들기만 한다.

 

네이버는 이제 보수진영이라 칭해지는 댓글부대들이 점령해버렸다.

우리나라 최상위 트래픽이기 때문에, 아직 전쟁중이지만, 돈의 힘은 위대하다.

그리고 다음, 네이트 등의 포털에서는 생각보다 꽤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뉴스는 그래서 네이버를 보지 않는다.

 

국내 업체들의 커넥션 혹은 만행을 피해서 유튜브로 옮긴 사람들이 많다.

검색시장, 미디어시장이 유튜브로 옮겨가서 인지 유튜브의 댓글 역시 상당하다.

유튜브는 다계정이 가능하더라도 절차가 복잡하고, 분쟁소지가 있는 댓글이나 영상에대해서 빠른 피드백이 가능하기 때문에 네이버보다 훨씬 다양한 의견이 달린다.

 

물론, 가짜뉴스 앞에서는 답이 없긴 하지만...

 

결론적으로 현재의 상태는 혼란기이자 적응기라고 생각한다.

가짜뉴스나 대규모 댓글부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나와야만 한다.

그렇게만 된다면, 현재의 대의민주주의보다 직접 민주주의를 표방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도 구현될 수 있다고 본다.

 

조회수에 미친 언론과 생각없이 두드린 키보드로 돈을 버는 사람들에게

처벌 가능한, 자기 반성이 가능한 시스템이 제발 빨리 구현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