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물건을 어떻게 구매하는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오픈마켓/제품사입(소싱하기)

나는 물건을 어떻게 구매하는가?

2019.09.10 00:53 글쓰기 시작 현재 내가 개설한 스마트 스토어는 소비자에게 있어 어떤 위치에 있을까? 소비자들은 어떻게 내 제품에 다가올까? 몇번의 글을 쓰면서 스스로를 다독였지만, 판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사람들에게 노출시키는 것이다. 특히나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내 제품을 구매한 사람들이 내가 구축한 프로세스에 어느정도의 접근하고 있는지 고민 해봐야한다. 그래서 아이템스카우트나 네이버데이터랩 등의 자료를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간단한 오프라인 예로 생각해보자면, 옥천에 자모식당이라는 곳이 있다. 아는 사람은 알테지만, 지역 외 사람은 전혀 모르는 숨겨진 맛집이라고 감히 평하겠다. 문제는 방금 적은 글에 있다. 사람들이 저 식당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못하..

2019.09.10 게시됨

네이버와 알리 익스프레스의 협업, 그리고 카카오톡스토어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오픈마켓/제품사입(소싱하기)

네이버와 알리 익스프레스의 협업, 그리고 카카오톡스토어

2019.09.05 02:14 글쓰기 시작 네이버와 알리익스프레스가 쇼핑검색 제휴를 맺었다. 현재 상황에 오픈마켓에서 가장 걱정이 되는 부분은 알리바바의 한국진출이다. 쿠팡이 물류센터를 지으며 공격적으로 나오듯, 알리바바역시 해외 물류센터를 짓고 연간 판매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국내에서 직배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부업으로 하던 중국제품 사입/판매 오픈마케터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며, 국내 제조사 및 유통사들의 가격정책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 상당히 좋다. 중국 내 제품을 더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고, 배송도 기존 대비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가격경쟁력이 있는 업체를 제외하고 많은 업체들이 네이버 연동을 거절할 명분이 생긴다. 그..

2019.09.05 게시됨

오픈마켓 SEO - 키워드 분석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오픈마켓/키워드 공부

오픈마켓 SEO - 키워드 분석

2019.09.03 00:32 글쓰기 시작 오픈마켓에서 물건을 판매한다. 1차적으로 생각하면 당연히 내가 판매하는 제품이 가진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물건을 판매한다'는 생각은 거꾸로 '고객이 물건을 구매한다' 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때, 가질 수 있는 물음은 왜? 사람들이 왜 내 물건을 살까? 사람들은 어떻게 내 오픈마켓에 들어왔을까? 어떤 상품에 관심을 갖고 있을까? 사람들이 찾는 물건과 연관된 상품은 무엇일까? 이런 고민들을 하게 된다. 이 때 네이버나 구글이 제공하는 키워드 툴과 애널리틱스 툴은 상당히 도움이 된다. 네이버애널리틱스 (링크) 구글애널리틱스 (링크) 최근에 네이버와 구글의 애널리틱스를 통해 내 오픈마켓에 유입된 사람들이 검색한 키워드를 중점적으로 공부하고 있다. 최..

2019.09.03 게시됨

우체국 택배, 최소 사이즈도 있다.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오픈마켓/배송프로세스

우체국 택배, 최소 사이즈도 있다.

2019.08.27 01:13 글쓰기 시작 최근에 보내고 있는 택배는 우체국 택배로 보내려고 한다. 우체국 택배의 최대의 장점. 빠르고, 빠르고, 빠르다. 내 제품을 로켓배송으로 만들어 준다. 그런데 너무 작은 박스를 이용할 때가 있다. 미니멀하게 120 X 110 X 60 이 박스는 우체국에서 이용할 수 없는 사이즈의 상자였다. 눈물을 머금고 400원을 지불하여 1호박스에 집어넣었다는 전설적인 전설의 이야기 항상 설명서를 잘 보라고 했는데, 그걸 잊어버릴 때가 많다. 오늘도 공돌이는 설명서를 찾다가 내용을 찾아버렸다. 우체국 택배의 최대 크기는 한변이 1m 이내이며, 세변의 합이 160cm를 초과하지 않는 박스일 것. 그리고 최소 사이즈는 세변의 합이 35cm 이상일 것 중량은 30Kg 이내일 것 3,..

2019.08.27 게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