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mkxGl%2FbtqxyvA7Mf9%2FpyJCUecDzFo4OVJKkBsf10%2Fimg.png)
사업자통관용 공인인증서 발급 준비 (탈 범용 공인인증서 )
아마귀차니스트
·2019. 8. 19. 01:59
해외 제품을 구매대행으로 사입하는 방법은 대략 2가지 경로로 볼 수 있다.
- 물품구매 → 배송(배송대행지 or 직배송) → 통관 → 국내배송
- 물품구매 → 구매대행
현재 'XX허브'라는 곳에서 단기적으로 구매대행을 진행하고 있는데,
자체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판매목적으로 수입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과정에 내가 요청한 물건을 껴서 나에게 도매로 판매하는 형식으로 보여진다.
이렇게 구매할때, 2번의 구매과정동안 비용은 대략 "위안화X290~300원" 정도
현재처럼 높은 수수료를 물더라도 수익이 발생하지만, 판매목적으로 들여오는 제품에 대해 관세청에서 폭탄을 맞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사업자 통관 번호를 받고 첫번째 경로로 물품 수입을 도전해보고자 한다.
당장 필요한 것은 "유니패스에서 사업자통관부호를 받기 위한 공인인증서"
처음 검색을 할 때, "사업자용 범용 공인인증서"들이 마구 난무한다. 대략 비용은 연간 11만원/ 수준
간이사업자로 진행하기에는 초기 비용이 생각보다 컸고, 매출이 작은 상황이라 다른 방법을 찾고 있었다.
그러던 중, 유니패스 사이트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조금(?) 싸게 통관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유니패스(관세청포털)에 들어가 "고객센터>공인인증서" 에 들어가면 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가격은 어떻게 될까?
VAT포함가는 아래와 같았다. (링크 첨부)
한국무역정보통신 전자무역용 55,000원 http://www.tradesign.net/service/introduce/fee
한국전자인증 원산지증명용(관세청 통관포털용) 55,000원 https://www.crosscert.com/glca/01_1_01.jsp
모두 1년에 55,000원 으로 동일했다.
사업자 통관부호를 받고 관세(대략 20%)를 내고 수입을 하는 편이 훨씬 경제적이란걸 이제 깨달아 버렸다.
물론 구매대행업체에서 1차 검수를 해주는 부분도 있겠지만, 모든 수수료는 나의 적
필요한 서류는 사업자등록증 사본, 본인 신분증, 인감이 찍힌 신청서 or 인감증명서
사업자 통관부호를 빨리 부여받아 더 적은 금액으로 수입해 수익을 더 늘릴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길 기대해본다.
'오픈마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득"을 위한 공부를 시작 (0) | 2019.11.21 |
---|---|
브랜드파워의 힘과 내 브랜드 끌어올리기 (0) | 2019.08.22 |
셀러입장에서 본 스마트스토어 VS 쿠팡 (0) | 2019.08.20 |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ID 만들기 (0) | 2019.08.14 |
어떻게 소비자를 유입시킬 것인가? (1) | 2019.08.04 |